맨위로가기

막심 이글린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심 이글린스키는 카자흐스탄 출신의 사이클 선수로, 동생 발렌틴 이글린스키 또한 사이클 선수로 활동했다. 2002년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010년 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안케 우승, 2012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우승 등 전성기를 누렸다. 그러나 2014년 EPO 양성 반응으로 선수 자격이 정지되었고, 이후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의 아시안 게임 사이클 참가 선수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는 카자흐스탄의 은퇴한 프로 사이클 선수이자 아스타나-카자흐스탄 팀의 제너럴 매니저로, 올림픽 메달과 부엘타 아 에스파냐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도핑 파문 후 재기에 성공했다.
  • 카자흐스탄의 아시안 게임 사이클 참가 선수 - 안드레이 키빌료프
    카자흐스탄 출신 프로 사이클 선수 안드레이 키빌료프는 페스티나와 코피디스 팀에서 활약하며 투르 드 터키 우승과 투르 드 프랑스 종합 4위를 기록했으나, 2003년 파리-니스 레이스 중 사고로 29세에 사망하여 사이클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헬멧 착용 의무화에 영향을 주었다.
  • 아스타나 출신 - 카림 마시모프
    카림 마시모프는 카자흐스탄의 정치인으로, 총리, 대통령 비서실장, 국가보안위원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반역죄 등으로 18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아스타나 출신 - 예카테리나 루덴코
  • 카자흐스탄의 올림픽 사이클 참가 선수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는 카자흐스탄의 은퇴한 프로 사이클 선수이자 아스타나-카자흐스탄 팀의 제너럴 매니저로, 올림픽 메달과 부엘타 아 에스파냐 종합 우승을 차지했으며 도핑 파문 후 재기에 성공했다.
  • 카자흐스탄의 올림픽 사이클 참가 선수 - 안드레이 키빌료프
    카자흐스탄 출신 프로 사이클 선수 안드레이 키빌료프는 페스티나와 코피디스 팀에서 활약하며 투르 드 터키 우승과 투르 드 프랑스 종합 4위를 기록했으나, 2003년 파리-니스 레이스 중 사고로 29세에 사망하여 사이클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헬멧 착용 의무화에 영향을 주었다.
막심 이글린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글린스키 (2007년 투르 드 프랑스)
전체 이름막심 겐나디예비치 이글린스키
원어 이름Максим Геннадьевич Иглинский (카자흐어)
별칭없음
출생일1981년 4월 18일
출생지첼리노그라드,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신장1.73m
체중67kg
역할선수
종목로드
선수 유형펀처
은퇴 여부은퇴
주요 우승
클래식 경기국가 타임 트라이얼 챔피언십 (2006년)
국가 도로 경주 챔피언십 (2007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2012년)
스트라데 비앙케 (2010년)
메달
아시아 선수권 대회은메달 (2014년 아스타나, 도로 경주)
프로 선수 경력
2004년카펙
2005년도미나 바칸체
2006년팀 밀람
2007년–2014년아스타나 프로팀

2. 선수 경력

막심 이글린스키는 아스타나에서 태어났으며, 동생인 발렌틴 이글린스키도 자전거 경기 선수이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아마추어 선수로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서 우승과 입상을 기록했다.

2005년에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이탈리아 프로팀인 도미나 바칸체에 입단하여 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 우승, 도이칠란트 투어 제6구간에서 1위를 기록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카자흐스탄 도로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고, 2007년 크리테리움 뒤 도핀 리베레 제6구간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고국의 프로 사이클 팀인 아스타나 프로팀으로 이적하여 투르 드 스위스 산악왕에 올랐으며, 투르 드 로망디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완주하지 못했고, 2009년 E3 프레이스 플란데런에서 3위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안케 우승, 티레노–아드리아티코 4위, 겐트–베벨겜 7위, 밀라노–산레모와 투르 드 플랑드르에서 8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2년에는 리에주 바스토뉴-리에주에서 우승하며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고, 스트라데 비안케 2위, 투어 오브 벨기에 1위, 드바르스 도르 플란데 8위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투어 오브 알마티 우승, 투어 오브 벨기에 제4구간 1위, 부엘타 아 에스파냐 제1구간 도로 독주 1위를 기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4년에는 2014년 아시아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 개인 도로 경기에서 은메달을 획득하고, 클라시카 산세바스티안 대회 26위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그러나 2014년 도핑 검사에서 EPO 양성 반응이 나와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2]

다음은 막심 이글린스키의 주요 대회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대회성적
2002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1위 (8구간 우승)
2002투어 오브 차이나2위 (2구간 우승)
2003투르 드 불가리아3구간 우승
2004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1위
2004아시아 선수권 대회2위
2004투어 오브 그리스프롤로그 우승
2005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1위
2005도이칠란트 투어6구간 우승
2006카자흐스탄 선수권 대회 (개인 타임 트라이얼)1위
2007카자흐스탄 선수권 대회 (도로 경기)1위
2007크리테리움 뒤 도핀 리베레6구간 우승
2008투르 드 스위스산악왕
2008투르 드 로망디9위 (1구간 우승)
2009E3 프레이스 플란데런3위
2010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안케1위
2010티레노–아드리아티코4위
2010겐트–베벨겜7위
2010밀라노–산레모8위
2010투르 드 플랑드르8위
2012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1위
2012스트라데 비안케2위
2013투어 오브 알마티1위
2013투어 오브 벨기에4구간 우승
2013부엘타 아 에스파냐1구간 (단체 타임 트라이얼) 우승
2013UCI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 (도로 경기)8위
2014아시아 선수권 대회2위


2. 1. 초기 경력

2007년 투르 드 프랑스 당시의 이글린스키


아스타나에서 태어난 이글린스키는 동생 발렌틴 이글린스키도 자전거 경기 선수이다. 2002년 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 제8구간과 투어 오브 차이나 제2구간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03년에는 카자흐스탄 주니어 아마추어팀 카페크에 입단하여 불가리아 투어 제3구간에서 1위를 했다. 2004년에는 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 종합 1위를 차지했고, 일본 욧카이치에서 열린 2004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개인 도로 종목에서 일본의 스즈키 신리에 이어 2위를 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투어 오브 그리스 개막 경기에서도 1위를 차지했으며,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 도로 독주 부문에 출전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

2005년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이탈리아의 도미나 바칸체에 입단, 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에서 우승하고 도이칠란트 투어 제6구간에서 1위를 기록했다.

2. 2. 프로 데뷔 및 전성기

2005년에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이탈리아 프로팀인 도미나 바칸체에 입단하여 매년 카마이오레에서 개최되는 도로 자전거 경기 대회인 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 그 후 도이칠란트 투어 제6구간에서 1위를 기록했다. 2006년에는 카자흐스탄 도로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듬해에도 카자흐스탄 도로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크리테리움 뒤 도핀 리베레 제6구간에서 우승했다.[1] 이 해에 고국의 프로 사이클 팀인 아스타나 프로팀으로 이적했으며, 투르 드 쉬스에서 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에 열린 투르 드 로망디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08년에 베이징에서 열린 올림픽에 카자흐스탄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개인 도로 부문에 출전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 2009년에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을 무대로 하는 E3 프레이스 플란데런에 참가하여 필리포 파차토의 뒤를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이후 2010년에는 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안케에서 토마스 뢰프크비스트와 마이클 로저스를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티레노–아드리아티 제4구간에서는 1위를 차지한 미켈레 스카르포니와 17초 차이로 5위를 기록했다. 겐트-베벨험 대회에서 우승자인 베른하르트 아이젤과 51초 차이로 7위를 기록하였다. 그 후 밀란-산 레모, 투어 오브 플랑드르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2년에 리에주 바스토뉴-리에주 경기에서 우승을 했고,[1] 스트라데 비안케에서 파비안 칸첼라라의 뒤를 이어 2위를 하였다. 이후 같은 해에 열린 투어 오브 벨기에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드바르스 도르 플란데에서는 8위를 하였다. 이듬해인 2013년에 알마티 투어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벨기에 투어 제4구간 1위, 부엘타 아 에스파냐 제1구간 도로 독주 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에 이탈리아 토스카나주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카자흐스탄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개인 도로 부문 8위를 기록했다.

2. 3.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우승

2012년 봄, 막심 이글린스키는 아르덴 클래식 중 하나인 2012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우승했다. 그는 호아킨 로드리게스와 함께 추격 그룹에서 떨어져 나와, 1km를 남겨두고 선두였던 빈첸초 니발리를 제치고 단독으로 우승했다.[1]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는, 남은 5km 지점에서 단독 선두로 달리던 빈첸초 니발리를 맹추격하여, 마지막에는 니발리에 21초 차이로 우승을 차지했다.

2. 4. 말년 및 은퇴

2014년 6월, 고향 아스타나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 개인 도로 경기에 출전하여 같은 카자흐스탄 동료 선수인 루슬란 틀레우바예프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의 동메달도 드미트리 그루즈데프가 차지하면서 포디움을 모두 카자흐스탄 선수가 휩쓸었다. 이후 8월에 열린 클라시카 산세바스티안 대회에서 26위를 한 것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2]

2014년 8월 EPO 양성 반응을 보인 후 2014년 10월 잠정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3] 그의 동생 발렌틴 이글린스키 또한 2014년 8월 EPO 양성 반응을 보여 9월 10일에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막심 이글린스키는 양성 반응 발표 시점부터 2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아 2016년 9월 30일에 만료되었다.

2014년 10월 1일 UCI은 같은 해 투르 드 프랑스 종료 후 8월 1일에 실시된 도핑 검사 샘플에서 EPO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4] 또한, 같은 아스타나 프로팀 소속 동생 발렌틴도 에네코 투어 기간 중 8월 11일 검사 샘플에서 EPO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함께 발표했다. 이글린스키는 아스타나 프로팀에서 해고되었고, 검사일로부터 2년 1개월의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3. 도핑 논란

2014년 8월, 이글린스키는 EPO 양성 반응을 보여 같은 해 10월에 잠정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2] 그의 형 발렌틴 이글린스키 또한 2014년 8월 EPO 양성 반응으로 9월 10일에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3] 막심 이글린스키는 양성 반응 발표 시점부터 2년간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고, 이는 2016년 9월 30일에 만료되었다.

2014년 10월 1일, UCI은 투르 드 프랑스 종료 후인 8월 1일에 실시된 도핑 검사에서 이글린스키의 샘플에서 EPO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했다.[4] 같은 아스타나 소속 동생 발렌틴 이글린스키도 에네코 투어 기간 중 8월 11일 검사에서 EPO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함께 발표되었다. 이글린스키는 아스타나에서 해고되었고, 검사일로부터 2년 1개월의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4. 주요 성적



막심 이글린스키는 여러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선수 경력과 성적은 다음과 같다.

;2009년


  • E3 프레이스 플란데런 3위
  • GP 웨스트 프랑스 - 플루에 8위


;2014년

  • 아시아 선수권 대회 개인 도로 경기 은메달 획득.
  • 8월 클라시카 산세바스티안 대회 26위 (은퇴)
  • 10월 1일 UCI는 투르 드 프랑스 종료 후 8월 1일에 실시된 도핑 검사 샘플에서 EPO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발표했다[4]. 또한, 같은 아스타나 소속 동생 발렌틴도 에네코 투어 기간 중 8월 11일 검사 샘플에서 EPO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함께 발표했다. 이글린스키는 아스타나에서 해고되었고, 검사일로부터 2년 1개월의 출전 정지 처분을 받았다.

4. 1. 2002년

아스타나에서 태어났으며, 동생으로는 같은 종목인 자전거 경기 선수 발렌틴 이글린스키가 있다. 2002년에 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에 참가하여 제8구간에서 1위를 하였고, 투어 오브 차이나 제2구간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 투어 오브 재팬에 출전했다.

2002년 주요 성적
대회명순위
부엘타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1위 (8구간)
투어 오브 차이나2위 (2구간)
투어 오브 재팬4위


4. 2. 2003년

2003년에 카자흐스탄의 주니어 아마추어팀인 카페크에 입단하여 불가리아 투어 제3구간에서 1위를 하는 등 2003년 시즌을 그 팀에서 활약하였다.

순위대회
1위투르 드 불가리아 3구간
2위플레쉬 아르데네즈
7위그랑프리 기욤 텔 종합
8위옴루프 반 헤트 하우트란트


4. 3. 2004년

욧카이치일본어에서 열린 2004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개인 도로 종목에서 개최국 일본의 스즈키 신리의 뒤를 이어 2위를 하여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 투어 오브 그리스에 참가하여 개막 경기에서 1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에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카자흐스탄 국가대표로 발탁되어 도로 독주 부문에 출전하게 되었으나 완주에 실패했다.

대회성적
부엘타 아 라 인데펜덴시아 나시오날1위
슬란체프 브랴그 상1위
아시아 도로 선수권 대회 도로 경기2위
도로 경기3위
투어 오브 그리스3위
투어 오브 그리스 프롤로그1위
필립 반 코닝슬루 기념 대회3위
투르 드 라브니르5위
부클 드 로른5위
투어 드 보스6위


4. 4. 2005년

2005년에 프로 선수로 전향하여 이탈리아 프로팀인 도미나 바칸체에 입단했다. 그 해 카마이오레에서 열린 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에서 우승하고, 도이칠란트 투어 제6구간에서 1위를 기록했다.[4] 투르 드 프랑스에 처음 출전하여 종합 37위를 기록했다.

대회명기록
그란 프레미오 치타 디 카마이오레1위
도이칠란트 투어6구간 1위
개인 타임 트라이얼, 내셔널 로드 챔피언십2위
지로 델 라치오5위
투르 드 프랑스종합 37위


4. 5. 2006년

Maxim Iglinsky|막심 이글린스키영어는 2006년에 카자흐스탄 도로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개인 타임 트라이얼에서 1위를, 도로 경기에서 3위를 차지했다. 같은 해 팀 밀람으로 이적했다.[4]

내셔널 로드 챔피언십
순위세부 종목
1위개인 타임 트라이얼
3위도로 경기


4. 6. 2007년

이듬해인 2007년에는 카자흐스탄 도로 자전거 경기 선수권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크리테리움 뒤 도핀 리베레 제6구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4] 이 해에 고국의 프로 사이클 팀인 아스타나 프로팀으로 이적했으며, 투르 드 쉬스에서 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에 열린 투르 드 로망디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4. 7. 2008년


  • 투르 드 로망디 1구간에서 우승하고 종합 9위를 기록했다.
  • 투르 드 스위스에서 산악상을 수상했다.
  • 지로 디 이탈리아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종합 55위를 기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카자흐스탄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개인 도로 부문에 출전했으나 완주하지 못했다.

4. 8. 2010년

2010년에 이글린스키는 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안케에서 토마스 뢰프크비스트와 마이클 로저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티레노–아드리아티코 제4구간에서는 미켈레 스카르포니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겐트-베벨험 대회에서는 베른하르트 아이젤에 이어 7위를 기록하였다. 그 후 밀란-산 레모, 투어 오브 플랑드르에서 모두 8위를 기록했다.

다음은 2010년 주요 성적을 정리한 표이다.

대회명순위
몬테파스키 스트라데 비앙케1위
투르 메디테라네엔3위
티레노–아드리아티코4위
겐트–베벨겜7위
밀라노–산레모8위
투르 드 플랑드르8위


4. 9. 2012년

2012년에 이글린스키는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 우승했고, 2012 스트라데 비앙케에서 파비안 칸첼라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4] 같은 해 투어 오브 벨기에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드바르스 도르 플란데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에서는 남은 5km 지점에서 단독 선두로 달리던 빈첸초 니발리를 맹추격하여 21초 차이로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순위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1위
스트라데 비앙케2위


4. 10. 2013년

대회결과
투어 오브 알마티1위
투어 오브 벨기에 4구간1위
부엘타 아 에스파냐 1구간 (TTT)1위
도로 경기, UCI 로드 세계 선수권 대회8위
드와스 도어 플란데렌8위
에네코 투어 종합9위


5. 그랜드 투어 성적

그랜드 투어2005200620072008200920102011201220132014
-- 지로 디 이탈리아55
-- 투르 드 프랑스37DNFDNF131105116129
A red jersey
부엘타 아 에스파냐
DNFDNF



범례
불참
DNF완주 실패


5. 1. 지로 디 이탈리아

연도대회순위
2008년지로 디 이탈리아55



2008년에 막심 이글린스키는 지로 디 이탈리아에 처음 출전하여 종합 55위를 기록했다.[4]

5. 2. 투르 드 프랑스

연도대회순위
2005투르 드 프랑스37
2006투르 드 프랑스DNF
2007투르 드 프랑스DNF
2010투르 드 프랑스131
2011투르 드 프랑스105
2012투르 드 프랑스116
2014투르 드 프랑스129



2005년, 도미나 바칸체 소속으로 투르 드 프랑스에 처음 출전하여 종합 37위를 기록했다. 2014년 10월 1일, UCI는 같은 해 투르 드 프랑스 종료 후 8월 1일에 실시된 도핑 검사 샘플에서 EPO 양성 반응이 나왔다고 발표했다[4].

5. 3. 부엘타 아 에스파냐

연도결과
2009DNF
2013DNF



범례
DNF완주 실패


  • 2009년 부엘타 아 에스파냐에 처음 출전했으나, 17구간 종료 후 기권했다.[4]

참조

[1] 뉴스 Maxim Iglinsky wins Liège – Bastogne – Liège http://www.cyclingne[...] VeloNews.com 2012-04-22
[2] 뉴스 Maxim Iglinskiy provisionally suspended for EPO http://www.cyclingne[...] cyclingnews.com 2014-10-01
[3] 뉴스 Valentin Iglinskiy sacked by Astana after positive test http://www.cyclingne[...] Future plc 2014-09-10
[4] 웹사이트 Maxim Iglinskiy provisionally suspended for EPO https://www.cyclingn[...] 2021-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